의술은 환자를 위해 발전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우리의 노력은 계속됩니다
일요일,공휴일 휴진
(단, 입원 환자분은 진료합니다.)
공휴일이 있는 주는 목요일 6시까지 진료합니다.
골다공증 치료약이 대장암을 예방해
골다공증
치료약을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여성은 대장암의 발병률이 60%나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약은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제제로 뼈의 칼슘이 녹아 나오는 것을 억제해 골밀도를 높여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에는 보니바(boniva), 포사맥스(fosamax), 액토넬(actonel), 리클라스트(reclast) 등이 있다.
이번 연구는 대장암환자 933명의 폐경 후 여성과 연령과 민족, 거주지역이 일치하는 933명의 건강한 여성을 비교 조사했다. 그 결과, 대장암의 진단 전에 1년 이상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복용한 여성은 이 약을 복용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대장암의 발병률이 50%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여성은 거의 대부분이 포사맥스를 복용하고 있었다.
대장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야채의 섭취량, 운동습관, 대장암에 관한 가족력, bmi 수치, 저용량의 아스피린, 콜레스테롤 수치 강하 약인 스타틴, 비타민d, 및 폐경 후의 호르몬 사용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다른 요소들을 제외한 후에도 위와 같은 사실은 변동이 없었으며, 1년 이상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의 복용으로 인한 대장암 발병률의 감소는 59%가 되었다.
대장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야채의 섭취량, 운동습관, 대장암에 관한 가족력, bmi 수치, 저용량의 아스피린, 콜레스테롤 수치 강하 약인 스타틴, 비타민d, 및 폐경 후의 호르몬 사용 등이 포함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스타틴으로 불리는 콜레스테롤 강하 약이 신체에서 작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장암의 발병률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이스라엘 공과대학교 의과대학과 카멜 메디컬센터의 가드 레나트박사와 연구진에 의해 의학 전문 저널 '임상 종양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지난 14일 소개되었다.